60% 혹은 65% 키보드를 사용하게 되면, '~' 표시가 특수키 조합으로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터미널에서 자주 사용되는 '~' 키를 Shift+ESC로 매핑하면 상대적으로 사용이 쉬워집니다.
xmodmap -pk로 키 매핑 리스트를 확인해보면 Esc 키(키코드 9번)에는 기본적으로 '0xff1b (Escape) 0x0000 (NoSymbol) 0xff1b (Escape)'
순서로 매핑이 되어 있습니다.
두번째 값은 Shift키와 함께 눌렀을 때의 출력값인데, 기본값은 심볼 표기가 없도록 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커맨드로 Shift+Esc에 '~' 표시를 매핑시켜줄 수 있게 됩니다.
xmodmap -e 'keysym Escape = Escape asciitilde Escape'
다시 xmodmap -pk로 확인해보면 결과적으로 Esc에는 0xff1b(Escape) 0x007e(asciitilde) 0xff1b (Escape)가 매핑되게 됩니다.
참고로 Chrome나 Naver Whale 등 브라우저의 경우 Shift+Esc가 기본 단축키(브라우저 관리자 혹은 작업관리자)로 사용되고 있어서 우선적으로 해당 기능이 호출됩니다.(즉, 앱의 기본 단축키 설정이 우선 적용됩니다.)
'개발일지와 메모사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Locale 터미널에서 설정(한글) (1) | 2023.10.05 |
---|---|
ZSH(Z Shell) 사용하기 (0) | 2023.09.26 |
우분투로 WebDAV NAS 구축하기 (0) | 2023.09.25 |
[WSL] Windows 포트포워딩 with PowerShell (0) | 2023.09.01 |
[WSL] 우분투 22.04에 CUDA 설치하기 (0) | 2023.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