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록 - 가상자산으로 달러패권을? 숫자로 보는 현실
현실을 보여주는 숫자들
2025년 5월 현재 주요 수치들을 정리해 보자.
가상자산 시가총액:
- 비트코인: 2.14조 달러 ※미국 보유분 3,325억 달러(국가 574억 달러, 민간 2,751억 달러)
- USDT: 1,400억 달러
- USDC: 610억 달러
- 전체 스테이블코인: 2,470억 달러(미국 보유분 719억 달러)
미국 국가부채:
- 총부채: 36.9조 달러
이 숫자들을 나란히 놓고 보면 한 가지가 명확해진다.
가상자산 전체를 합쳐도 미국 부채의 6.47% 수준이라는 것이다.(미국 보유분 기준 1.1%)
패권을 말하기엔 너무 작은 규모
달러패권이라는 것은 무엇인가?
전 세계 무역의 60%가 달러로 결제되고, 각국 외환보유고의 60%가 달러이며, 국제 금융거래의 압도적 비중을 달러가 차지하는 현실을 말한다.
이런 거대한 생태계에서 2조 달러 규모의 비트코인이나 2,470억 달러의 스테이블코인이 "패권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까?
모든 가상자산을 미국이 독점한다고 가정하면 가능한 수준인가?
비교해 보자:
- 미국 주식시장만 해도 50조 달러가 넘는다
- 미국 부채는 매년 4조 달러씩 늘어난다
- 전 세계 외환거래량은 하루에 7조 달러를 넘는다
이 규모에서 비트코인 2조(미국 보유분 0.3325조) 달러는 미미한 수준이다.
통제할 수도 없는 자산으로 패권 강화?
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비트코인은 애초에 분산형 자산이다.
미국 정부가 원한다고 해서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통제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다른 나라들이 비트코인을 보유하는 것을 막을 수도 없다.
미국이 비트코인을 많이 사면 가격은 오르겠지만, 그게 곧 미국만의 이익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전 세계 비트코인 보유자들이 함께 수혜를 받을 뿐이다.
스테이블코인의 한계
스테이블코인이 달러 수요를 늘린다는 주장도 있다.
맞는 말이다.
하지만 그 규모를 봐야 한다.
전체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2,470억(미국 보유분 719억) 달러다.
이는 미국 경제 규모(GDP 27조 달러)의 1%(미국 보유분 기준 0.27%)도 안 된다.
이 정도 수요 증가로 달러의 국제적 지위가 흔들리거나 강화될 리는 없다.
결론: 과장된 이야기들
복잡한 경제 이론이나 거창한 논리를 동원할 필요도 없다.
단순히 숫자만 봐도 답이 나온다.
가상자산이 달러패권을 강화한다는 주장은 규모상 말이 안 된다.
전체 가상자산을 합쳐도 미국 부채의 6.47% 수준인데, 이것으로 세계 기축통화의 지위를 좌우한다는 것은 과장이다.
(오히려 X-date를 더 걱정해야 할 상황 아닐까?)
사실 달러패권을 둘러싼 현실은 더 복잡하다.
오래전부터 달러 중심 체제에 대한 도전과 의심이 계속되어 왔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 러시아를 SWIFT에서 퇴출시킨 이후, 미국 중심 금융 시스템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었다는 점은 이미 수많은 기관과 전문가들이 인정한 바 있다.
여기에 관세전쟁까지 겹치면서 달러 체제에 대한 위기의식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가상자산으로 달러패권을 강화할 수 있다는 과장된 주장들이 나오는 것은, 어쩌면 현실적 위기감에 대한 기대와 희망의 반영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숫자는 그런 희망적 사고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런 주장들은 대부분 가상자산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거나 투자 심리를 자극하려는 마케팅적 성격이 강하다.
실제 거시경제적 영향력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라는 게 현실이다.
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가상자산은 그 자체로 흥미로운 기술이고 투자 대상이지만, 달러패권을 강화하는 도구라고 보기에는 아직 한참 부족하다.
물론 그게 가능하다면 어떤 역설을 발견하게 될 뿐이다.